몇일 간 난리부르스 치며 고생했던 내용을 기록한다.
OS X Sonoma 가 되면서, 그동안 울며 겨자먹기로 이용하던 맥용 한글 2014 VP 에 치명적인 오류가 생기기 시작했다.
그림이 보이지 않기 시작한 것.
당장 머리속에 떠오른 방법은 Parallels 로 가상 윈도우를 올려, 그 안에 한글을 설치하는 것이지만
내 맥 활용 특성상, VM을 이용한 방식은 램을 너무 많이 잡아먹기도 하고
잡아먹은 만큼의 활용도도 너무 심하게 떨어졌다.
특히, 교육할인을 받아 구매한 Parallels 는 Standard license 라서, 램을 8GB까지밖에 설정하지 못해서
큰 문서를 여는데 답답해서 도저히 사용할 수가 없었다.
그래서 과감하게 환불을 질러버리고.
가장 이상적인 건 Wine stable 8 버전대로 올라온 아이를 이용하여, 설치되는 버전 아무거나라도 동작하면 가장 이상적일 듯 하여
Wine stable, gcenx wineskin 등등을 두루두루 다 이용해 보았다.
최종적으로는 성공했고, Whisky 와 automator 를 이용하여 연결해서, .hwp 파일을 더블클릭 했을때 해당 파일이 열리는 것 까지 성공.
일단 Wine stable 에서는, winetricks 를 이용하여 gdiplus, dotnet35sp1 등을 설치하는데 큰 애로사항이 있었고,
터미널에서 사용해야 하는 명령어, DLL 로드, 이제는 관련없을거라 생각했던 opengl32.dll 등이 발목을 잡았다.
wineskin winery 에서는 설치 자체는 정상적으로 잘 성공했고, 해당 방법을 제시한 블로그도 있다.
(그 분의 블로그 링크: 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blogId=k8629030&logNo=222181786903)
나의 최종 목적인 '파일 연결' 에는 불합리했지만, 그래도 기본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.
일단, 클리앙 및 다른 커뮤니티들의 정보를 끌어모아 보니, 2020 이후 버전들에서는 엄청난 오류가 아직 해소가 안 된다고 한다.
화면 상에 나오는 '페이지' 자체가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문제.
마침 내가 가진 설치파일 버전도 2020이라서 테스트 해 보았는데, 역시나 UI 전반적으로는 다 동작하는데 '종이' 가 보이지 않는다.
무슨 말이냐면, 글씨 / 테이블 / 배경 / 여백 등을 세팅하는 하얀색 공간 전체가 안보인다는 거.
안 보이고 나서 허탈해서 캡쳐도 안 해놔서 뭘 증빙자료를 내밀 수 있는게 없네.
암튼 Wine stable 8.0.2 에서도 아직은 안된다.
내 방법은 Whisky 를 이용한 방법이다.
whisky 를 다운받고, 새 Bottle 을 생성했다. Windows 버전은 만만한 10으로.
그리고, winetricks 버튼을 이용해서 사전에 설치해줘야할 모듈들을 하나씩 설치했다.
gdiplus, dotnet35, dotnet35sp1, dotnet40 을 하나씩 입력했다.
한번에 입력해도 된다는 것 같은데.. 나는 두개 이상 입력하니 오류가 발생해서 어쩔수 없었다.
암튼, 입력하면 터미널창이 열리면서 winetricks 가 실행되어 해당 패키지가 설치되었다.
dotnet35sp1 를 설치하는 데서 문제가 꽤 많이 발생했는데, cabextract 모듈을 brew 에서 받아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.
나는 직접 명령어로 해소하지 않고, 정상 동작하던 Wineskin winery 에서 winetricks 를 이용해 설치한 prefix location 폴더를 아예 통채로 복사해버렸다.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해소법은 가지고 있지 않다.
그리고, 실행 버튼으로 install.exe 파일을 실행해서 한컴오피스를 설치. 라이선스 키 입력하고 어쩌구 저쩌구 설치 완료.
그럼 bottle 에 새로 설치된 exe 파일들이 몇개 뜬다. (업데이트 등도 같이 떴었는데 지금은 지운 상태.)
한컴에서 배포하는 한컴네오 패치를 설치를 꼭 해야 클립보드 버그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
그 부분도 추가로 검색해서 다운 받아 설치하기.
다음은,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command line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, 이용하지 않을 바로가기를 하나 만든다.
Hwp 파일 저 아이콘 우클릭 -> 설정 -> 아래쪽에 바로가기 만들기 를 하면 바로가기가 만들어진다.
만든 바로가기를 찾아 패키지 내용 보기 --> Contents --> MacOS --> launch 를 적당한 텍스트 에디터로 열기.
그럼 대강 이런 정도의 텍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. 이 텍스트만 따다 쓸꺼긴 한데, 아직 지우지 말기.
이제 automator 실행해서 새로운 문서 만들기.
응용 프로그램 -> 유틸리티 -> 셸 스크립트 실행
셸은 나는 bash 를 좋아하니 /bin/bash, 통과 입력은 인수 로 변경.
for f in "$@" 어저구 생기는데 싹 지워버리고, 저 텍스트를 복붙한다.
그리고 맨 마지막에
"${1//\//\\}" &>/dev/null &
를 이어 붙여 놓는다.
저 구문은, Mac OS 파일 문구인 /Users/어쩌구저쩌구/ 형식을, 윈도우 형식에서 열릴 수 있게 \Users\어쩌구저쩌구\ 로 바꿔주는 명령어이다.
그리고 뒤에 /dev/null & 은, 실행할 때 대기하라는 무지개 동그라미를 없애는 문구.
거의 다 왔다. 응용프로그램 폴더에 저장해 놓는다.
다시 응용프로그램에 와서, 방금 저장한 automator 에서 할 일이 2가지 정도 있다.
automator 결과물 우클릭 - 정보 가져오기 해서 열어 두고 일단 킵.
그리고 아까 whisky 의 바로가기 결과물 우클릭 - 정보 가져오기 해서 두개를 연다.
automator 로봇 아이콘이 맘에 안드니까, Hwp (whisky 바로가기) 에서 열린 창 맨 위의 아이콘 클릭 - cmd + C 후
automator 로봇 아이콘 클릭 - cmd + V 하면 아이콘이 대체된다. 예쓰. 이제 닫기.
이젠 whisky 결과물 삭제해도 됨.
다시, automator 우클릭 - 패키지 내용 보기 - contents - info.plist 를 텍스트 에디터로 수정.
지금 내 버전을 첨부한다.
string 이 * 로 되어 있는데, hwp 로 수정.
뭐 아이콘 수정, 문서 이름 수정 뭐 여러가지 더 할 수 있으니 그 부분은 알아서 추가로 할 것.
BundleTypeName, LSTypeIsPackage 정도만 수정/추가하면 됨.
아이콘은 적용해 봤는데 잘 안 바뀌는 듯. 나중에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고.
자 끝이다.
hwp 파일 아무거나 우클릭해서, 정보 가져오기 해서
다음으로 열기 를 지금 우리가 만든 걸로 바꿔놓으면 된다. 모두 변경 누르면 끝.
자, 이제 문서 다운받고 바로 더블클릭 하면, 한박자 쉬었다가 한컴네오 열리고 문서 수정 복붙 다 잘 된다.
wineskin winery 에서 한컴네오가 잘 열리는데,
winery wrapper 에서 외부 파일을 내부로 연결시키는 데 실패해서 이렇게 돌아옴.
wineskin wrapper 에서는 wine64, prefix, winetricks 가 다 정상 동작하는데
그걸 terminal 에서 다 링크해서 여는데, 왜 계속 에러가 발생하는지.
LR_PORT 오류, 아키텍처 틀리다는 오류 등 벼라별 오류가 다 나서 포기하고 whisky 로 돌아섰다.
대신 whisky 는 위에 이야기한 것 처럼 winetricks 설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다.
개인적으로는 일단 wineskin winery 를 이용해, 위 블로그 분이 하란 대로 다 설치해서
winetricks, 폰트, 한컴까지 다 설치한 prefix 를 만들어 준비한 다음에,
whisky 에서 bottle 만들어서 그 bottle 의 prefix 위치에 싹 복사해넣어버리는 방법을 추천.
한컴네오 라이선스 다시 입력하라고 하는 창이 한번 뜨긴 하는데,
라이선스 키 입력해 주고 그 다음 창 오류메세지 (인터넷 어쩌구) 하는건 취소 눌러버리면 그 다음부턴 잘 동작한다.
'리뷰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smo communicator Genian OS 한글 문제 해결 (1) | 2024.01.29 |
---|---|
집 현관 게이트 통과 카드를 복사해 보자. (RFID, CUID) (18) | 2022.08.02 |
Caps Lock 키와 Ctrl 키 위치 바꾸기. (0) | 2018.11.09 |
전기면도기 에탄올 소독 후기. (1) | 2018.10.30 |
애플 펜슬 수축튜브 작업 후기. (0) | 2018.10.24 |